본문 바로가기
강아지

강아지 설사, 그냥 두면 안 되는 이유는?

by 쪼솜 2025. 4. 9.

강아지가 설사를 할 때 보호자가 가장 먼저 해야 할 일

“강아지가 설사를 했어요. 그냥 지켜봐도 될까요?”
많은 반려인들이 처음 마주하는 질문입니다.
강아지 설사는 흔한 증상이지만, 원인에 따라 대처가 달라져야 해요.

어떤 경우는 단순한 일시적 소화 문제일 수 있고,
어떤 경우는 심각한 질병의 전조일 수도 있기 때문에
보호자의 빠르고 정확한 관찰이 필요합니다.


강아지 설사의 주요 원인

1. 음식 관련 문제

  • 갑작스런 사료 변경
  • 사람이 먹는 음식 섭취
  • 상한 간식 or 이물질 삼킴
  • 과식, 간식 과다 급여

📌 특히 생식 중인 강아지나 알러지 체질은 급격한 식단 변화에 민감해요.

2. 스트레스 또는 환경 변화

  • 이사, 새로운 가족 구성원 등장
  • 보호자와의 분리불안
  • 병원 방문 후 등

3. 기생충, 바이러스 감염

  • 회충, 편충 등 장내 기생충
  • 파보, 코로나, 디스템퍼 바이러스 등
  • 특히 생후 6개월 미만의 강아지는 더 위험합니다.

4. 질병 및 기타 원인

  • 췌장염, 장염, 간 기능 이상
  • 약물 부작용
  • 음식 알레르기

강아지 설사, 어떤 증상이 위험 신호일까?

1~2번의 묽은 변만 했다면,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어요.
하지만 다음 증상 중 하나라도 있다면 즉시 병원 진료가 필요합니다.

  • 설사가 24시간 이상 지속
  • 피가 섞인 설사 (혈변)
  • 설사와 함께 구토, 무기력, 발열
  • 검은색 타르변 (위장 출혈 의심)
  • 식욕 저하, 체중 감소
  • 탈수 증상: 잇몸이 끈적하고, 피부가 느리게 돌아옴

가정에서 할 수 있는 응급 대처법

🐶 경미한 설사의 경우

  • 식사 12시간 정도 중단 (금식)
  • 깨끗한 물 제공 (탈수 방지)
  • 회복식(예: 삶은 닭가슴살 + 흰쌀밥 소량) 시도
  • 사료는 소량씩, 천천히 재급여

📌 단, 금식은 6개월 미만 강아지에게는 권장되지 않으니 수의사 상담 후 진행하세요.


수의사 진료가 필요한 경우

다음 상황이라면 지체 없이 동물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.

  • 1일 이상 설사 지속
  • 반복되는 구토와 설사 동반
  • 설사 속에 이물질, 기생충, 피가 섞여 있는 경우
  • 무기력함이 동반될 때
  • 생후 6개월 미만, 노령견, 기저질환 있는 아이는 더 위험해요

강아지 설사 예방을 위한 관리법

  • 갑작스러운 사료 변경은 ❌
    → 최소 7일 이상 천천히 전환
  • 사람 음식 금지! 기름진 음식은 특히 위험
  • 기생충 정기 구충 (수의사 권장 주기에 따라)
  • 스트레스 완화: 산책, 놀이, 규칙적인 생활
  • 청결한 식기 사용 및 유통기한 확인 필수

요약: 강아지 설사, 무시하지 마세요

  • 설사는 일시적인 문제일 수도, 질병 신호일 수도 있어요
  • 지속되거나 혈변, 구토가 동반되면 병원 진료가 필수입니다
  • 금식과 수분 보충으로 응급 대처 가능하지만,
  • 예방 관리가 가장 중요합니다!

🐾 지금 우리 아이 설사 중이라면, 방치하지 마세요!

지금 이 글을 본 순간이 바로,
우리 아이의 장 건강을 지켜줄 수 있는 골든타임일 수 있어요.
소화계 질환은 초기에 잡는 게 가장 중요하니까요!